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티몬과 위메프의 정산 지연 사태 그리고 자본잠식 뜻과 부도가 발생하는 이유

by Life Balance 2024. 7. 25.
반응형

공동구매 방식으로 저렴한 쿠폰을 파는 것으로 유명했던 티몬과 웨메프의 정산 지연 사태가 발생하면서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인데요, 오늘은 티몬, 위메프 사태로 보는 자본잠식의 뜻과 부도는 왜 일어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자본잠식이란?

 

자본잠식(Capital Impairment)은 기업의 자본금이 손실로 인해 전부 소진된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기업이 소유한 자산보다 부채가 많아져 자본이 마이너스가 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기업이 가진 자산보다 갚아야 할 빚이 더 많아 자본이 부족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한마디로, 기업이 가진 돈이 없고, 빈털터리가 된 상황입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음식점이 있다고 해 보겠습니다. 이 음식점은 처음에 1억 원의 자본으로 가게를 운영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영업을 하다 보니 매출이 예상보다 적고, 운영 비용이 많이 들어서 1억 원의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자본이 1억인데 손실이 1억이라고 한다면 이 음식점의 자본금은 0원이 되는 것이죠.

이후에도 손실은 눈덩이처럼 커져 추가로 100만원 1000만원의 손실이 발생하면, 이 음식점의 자본은 마이너스 1100만원이 되는 것이며 우리는 이것을 자본잠식 상태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현재 티몬과 위메프의 사태가 이런 상황이며, 자본이 없고 빚만 있는 상태라 소비자로부터 받은 돈을 판매자들에게 정산을 해 주지 못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쇼핑몰에서 제품을 산 소비자의 경우 판매자한테 물건을 받아서 좋겠지만 정작 물건을 판매한 판매자들은 지금 판매대금을 받지 못하여 돈이 묶여버린 상태 입니다.

결국 가장 큰 피해자는 소비자와 더불어 현재 티몬과 위메프 쇼핑몰에 물건을 등록하고 판매한 셀러와, 일반 자영업자들일 겁니다.

 

자본잠식이 발생하는 이유는?

 

자본잠식의 주요 원인은 영업손실, 투자 실패 그리고 과도한 부채라고 할 수 있는데요, 티몬과 위메프는 쿠팡, SSG와 같은 대형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들과 경쟁에서 서서히 밀리는 있었고 밀리는 것이 당연한 것이 사실이었죠, 주로 핫딜 여행상품이나 공동구매하는 세일 상품이 있을때 고객들이 몰리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모회사인 큐텐의 경우 새로운 쇼핑몰로의 확장을 하기 위해 투자를 지속적으로 하면서 인수합병을 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데요, 결국 영업손실, 인수합병으로 인한 투자 실패와 투자로 인한 과도한 부채가 이러한 사태를 만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렇게 자본잠식 상태가 지속된다면 외부 투자를 받거나, 대출이 어려워지고, 결국은 파산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부도(Default)란?

 

 

부도(Default)는 기업이 만기가 된 채무를 갚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하는데요, 주로 기업이 현금 흐름 문제를 겪고 있음을 나타내며, 심각한 경우엔 기업의 파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IMF 시절 많은 기업들이 부도를 맞고 파산을 했었죠, 아픈기억입니다.

부도에 대해서 쉽게 설명하면 A씨가 매달 100만원씩 갚아야 하는 대출을 받았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직장을 잃어 수입이 끊기고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대출을 갚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 했습니다. A씨는 대출금을 갚기 위해 노력했지만 갚지 못한다면 부도 위기를 겪는 것이고 이것은 곧 파산을 의미 하는 것이죠.

기업도 마찬가지로 투자를 하기 위해 시중은행에 대출을 받고 대출을 갚지 못한다면 부도를 맞게 되는 것입니다

반응형